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게시판
- 깃허브
- 동적계획법
- MongoDB
- github
- 다이나믹프로그래밍
- 호이스팅
- SQL
- 분할정복
- 스프링 시큐리티
- 실행 컨텍스트
- 캐시
- in-memory
- 이벤트루프
- VMware
- 정보처리기사
- spring security
- 스프링 부트
- NoSQL
- 자바의 정석
- 영속성 컨텍스트
- document database
- Spring Boot
- sqld
- Redis
- 가상 면접 사례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기초
- 스프링부트
- JPA
- 정처기
- 레디스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github (1)
FreeHand

시작하며월요일에 취업 특강을 듣고 난 뒤, 잠시 미루던 블로그 활동을 다시 시작하기로 다짐했다. 이번 글은 git에 대한 내용이다. 그동안 git을 사용하면서 add, commit, push 등 이런 명령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막연하게 알고 사용했었다. 그저 '내 로컬 저장소의 내용을 원격 저장소에 반영하려면 add -> commit -> push를 해야 해'라고만 알고 사용했다. 그래서 조금만 잘못되거나 에러가 발생하면 구글링을 해서 무슨 의미인지도 모르고 또다시 웹상에 떠돌아다니는 명령어를 '복붙' 해왔다. 앞으로는 git을 더 이해하고 다루고자 아침마다 지하철에서 전자책을 보며 git을 공부했다. 그 내용을 정리하는 글이다. 원격 저장소에 커밋 올리기내 컴퓨터에 있는 폴더를 github에 있는 원..
기타/기타
2024. 2. 28. 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