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NoSQL
- 깃허브
- 스프링부트
- spring security
- Spring Boot
- 다이나믹프로그래밍
- 호이스팅
- 스프링 부트
- Redis
- 레디스
- 자바의 정석
- 실행 컨텍스트
- 동적계획법
- 가상 면접 사례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기초
- document database
- 이벤트루프
- VMware
- 정처기
- MongoDB
- SQL
- 분할정복
- 게시판
- 스프링 시큐리티
- in-memory
- 정보처리기사
- 캐시
- 영속성 컨텍스트
- JPA
- sqld
- github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72)
FreeHand
HTTP 메시지 구조 start-line header empty line message body 시작 라인 start-line = request-line(요청) / status-line(응답) request-line = method request-target HTTP-version (예: GET /search?q=hello&hi=ko HTTP/1.1) status-line = HTTP-version status-code reason-phrase (예: HTTP/1.1 200 OK) 헤더 HTTP 전송에 필요한 부가정보 field-name: field-value 예: Content-Type: text/html;charset=UTF-8 바디 실제 전송할 데이터 (HTML, 이미지, 영상, JSON 등)

HTTP란 웹 서버와 브라우저 사이에 문서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신 규약을 말함 html이나 text 말고도 이미지, 영상, 음성, JSON, XML 등 거의 모든 형태의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브라우저-서버) 그리고 (서버-서버)에서도 HTTP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HTTP는 stateless(무상태) 프로토콜 즉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보존하지 않는다. 서버 확장성 높음 클라이언트가 추가 데이터 보내야함 상태 유지가 필요한 경우(로그인 상태 유지)에는 쿠키, 세션 등을 활용 HTTP는 connectionless(비연결성) 모델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있을 때만 연결하고 요청이 끝나면 연결을 끊음 따라서 서버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 그러나 매번 새로 연결하는 시간이 걸림..

이전 글 [Spring Boot] 게시판 프로젝트 - 04. 회원정보 수정이전 글 [Spring Boot] 게시판 프로젝트 - 03. 게시판 글 CRUD이전 글 { this.save(); }); }, save: function() { let d" data-og-host="pressky99.tistory.com" data-og-source-url="https://pressky99.tistory.com/39" data-og-url="https://pressky99.tipressky99.tistory.com목차1. 댓글 작성2. 댓글 삭제 1. 댓글 작성 [detail.jsp] ... 생략 ... 등록 ..